NEVER LOOK BACK
: LAST COLD IN RUSSIA

Killing Eve—it's the drama that proudly topped Editor's PICK #1. The direction, the music, the costumes, the story, the acting—everything is flawless. I've rewatched it countless times. Honestly, it's the only reason I subscribe to Watcha.
자고로 킬링 이브란, 에디터 PICK 1위를 당당히 거머쥔 작품이란 말이다. 연출, 음악, 의상, 스토리, 연기, 모든 게 완벽하다. 다시 보기를 수십 번. 이거 때문에 왓챠 끊는다고요.

killing eve
Why does Villanelle become a killer who cuts the penis first? I don't give a sh*t about the lives of criminals. But there's something different about her. She's iconic. Remember when thousands of people commented "Come to my country" under a post about a couple* who killed sex offenders?
That's tied to something called 'Savior Syndrome.' It's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where people hope for a hero to solve problems they can't fix themselves. It goes further into something called 'Vigilantism', where people take justice into their own hands. Often, this stems from the absence of justice or mistrust in the system. When vigilantes appear in movies or TV shows, the audience feels a cathartic release. Are we living in an era of mistrust?
*Jeremy Moody and Christine Moody—currently serving life sentences.
왜 빌라넬은 고간부터 잘라버리는 살인자가 됐을까? 범죄자의 삶 따위 관심 없는데. 유별나다. 성범죄자를 죽인 커플*을 보고 "내한 와주세요" 댓글이 수 천 개였지 않나.
이는 '구세주 신드롬(Savior Syndrome)'과 연관된다.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누군가 해결해주길 바라는 심리다. 더 나아가 '자경주의(Vigilantism)' 현상은 스스로 정의를 집행하고자 한다. 주로 정의의 부재나 사법 체계에 대한 의혹에서 비롯된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경단이 등장하면, 대중들은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지금 우리 사회는... 불신의 시대라 명명해도 되지 않을까.
*제레미 무디(Jeremy Moody)와 크리스틴 무디(Christine Moody). 현재 종신형을 복역 중이다.

killing eve
Villanelle is beyond something. I can't hate her. Even end up admiring her. My English name is Villanelle. I have 9 English names, but... I aspire to be as bold and independent as she is. Not that I want to be a criminal! There must be a term for this kind of fascination, right?
And I discovered hybridophilia, the phenomenon of finding criminals sexually attractive. The word is rooted in Greek: 'hybristēs' meaning aggressor or criminal, and 'philia' meaning love or affection. In Villanelle's case, she's mesmerising at the same time—highly unpredictable. Her danger is part of what makes her appealing. As viewers, we find ourselves both afraid and curious. Attraction is unanswerable. Always stay cautious.
Bad guys always come with this package: the savior complex. The desire to save. The delusion that only I can change him. Oh, god. Let’s just drop that idea early. In the end, I'll need to save myself. Myself...
그녀는 무언가를 뛰어넘은 존재다. 미워할 수 없다. 오히려 동경하게 만든다. 내 영어 이름도 빌라넬로 정했다. 영어 이름이 9개는 되나… 그녀처럼 강렬하고, 독립적인 존재가 되기를 바라니. 물론 범죄자가 되고 싶다는 건 아니고요! 이것도 관련 용어가 있겠지? 싶어서 찾아봤더니 심리학 용어가 눈에 들어왔다.
하이브리스토필리아(Hybristophilia), 범죄자를 성적으로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현상.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hybristēs'는 공격자 또는 범죄자를, 'philia'는 사랑 혹은 애정을 뜻한다. 빌라넬의 경우, 매력적이고 치명적이지만, 극도로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하니. 그녀의 위험성이 매력의 일부분으로 작용하면서, 관객들은 두려움과 동시에 호기심을 느끼게 된다. 끌림은 답도 없네. 늘 조심.
나쁜 남자에게는 늘 이게 딸려온다. 구원자 콤플렉스. 구원하고 싶다는 욕구. 나만이 그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착각. Oh, god. 일찌감치 포기하자. 나중엔 나를 구원해야 할 것이다. 나를...

In a car, where a young Villanelle comes to the UK with Constantine after escaping prison from Russian. She gets out for a moment. Perhaps didn't she touch the name 'Oksana' and breathe in thin air? The place her eyes rest on—the cold air of Russia—she savors that final moment. A scene that mixes emptiness and vastness. One last flashback to Anna. Never Look Back. Oksana is a name of the past. Now Villanelle, a new life.
어린 빌라넬이 러시아에서 탈옥 후 콘스탄틴과 영국으로 넘어오는 차 안. 잠시 내린다. '옥사나'라는 이름을 만지작거리며 빈 공기를 들이마시지 않았을까? 그녀가 눈에 담는 곳. 러시아의 차가운 공기 속에서 마지막 순간을 음미한다. 허무와 광활함이 뒤섞인 전경. 안나를 한 번 회상하고는. Never Look Back. 옥사나는 과거의 이름이다. 이제는 빌라넬, 새로운 삶.







